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는 일본의 고등학교 야구 대회로, 1915년 시작되어 매년 여름에 열린다. 아사히 신문사가 주최하며, 각 도도부현(홋카이도, 도쿄는 2개 대표)에서 선발된 49개 학교가 참가한다. 대회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1924년부터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개최된다. 1918년 쌀 폭동으로 중단된 것을 제외하고, 태평양 전쟁 중에도 중단되었다가 1946년에 재개되었다. 1978년부터는 1현 1대표제가 확립되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었고, 2023년부터는 혹서기 대책으로 쿨링 타임이 도입되었다. 대회는 '영광은 너에게 빛난다'라는 주제가와 3학년에게는 고등학교 야구 생활의 마지막을 의미하는 '여름이 끝난다'라는 상징성을 갖는다. 또한 고시엔 구장의 흙을 가져가는 전통이 있으며, 다양한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등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효고현의 스포츠 -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는 일본 고등학교 야구 연맹과 마이니치 신문이 주최하는, 매년 3월에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리는 전국 고등학교 야구 토너먼트 대회로, 가을 토너먼트를 거친 32개교가 출전하며 지역별 배정, 21세기 팀, 메이지 진구 대회 우승팀 등의 선발 방식을 통해 출전 학교가 결정되고, 고교 야구 선수들의 꿈의 무대이자 학교와 지역의 명예를 건 경쟁의 장으로 여겨진다. - 도요나카시의 스포츠 - 핫토리료쿠치 육상 경기장
핫토리료쿠치 육상 경기장은 과거 경륜장으로 개장했으나 폐지 후 레크리에이션 시설로 개조되었으며, 현재는 FC 오사카의 기증으로 관리되고 오사카 모노레일 역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위치한다.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
로마자 표기 | Zenkoku Kōtō Gakkō Yakyū Senshuken Taikai |
별칭 | 여름 고시엔 |
로마자 표기 | Natsu no Kōshien |
기타 명칭 | 여름 (고교 야구) 대회 여름 선수권 고교 야구 고시엔 |
종목 | 야구 |
창립 | 1915년 |
참가팀 | 49개 팀 (특별 대회 시 56개 팀) |
최근 우승팀 | 교토 국제 (106회 - 2024년) |
최다 우승팀 | 주쿄대 주쿄 (7회) |
경기장 | 한신 고시엔 구장 |
텔레비전 중계 | NHK, ABC |
스트리밍 | SportsBull, Yahoo JP, Abema |
관련 대회 |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발 대회 |
웹사이트 | 스포츠불 야후 재팬 |
주최 | 일본 고등학교 야구 연맹 아사히 신문 |
후원 | 마이니치 신문 |
특별 협력 | 한신 고시엔 구장 |
대회 시작 년도 | 1915년 |
경기장 | 한신 고시엔 구장 |
참가 팀 수 | 49 |
이전 우승팀 | 교토 국제 (2024년) |
최다 우승팀 | 주쿄대 주쿄 (7회) |
웹사이트 | 고교 야구 연맹 공식 웹사이트 |
기타 정보 | |
과거 경기장 | 도요나카 그라운드 (제1회 - 제2회) 나루오 구장 (제3회 - 제9회)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제28회, 제40회, 제45회 일부 경기) |
대회 중단 | 쌀 소동으로 인해 제4회 대회 중단. 간토군 특별 연합 연습 동원 수송으로 인해 제27회 대회 중단.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제102회 대회 중단.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2년 - 1945년 대회 중단. |
우승기 | 현재의 우승기는 2018년에 새로 제작된 3대째임. |
2. 역사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는 긴 역사를 거치며 많은 변화를 겪었다. 1915년 제1회 대회는 도요나카 구장에서 열렸고, 초기에는 패자부활전이 있었다. 1924년 한신 고시엔 구장으로 대회 장소가 바뀐 후, 고시엔은 고교 야구의 성지가 되었다.
1921년 조선 대표와 만주 대표가 처음 출전했다. 부산공립상업학교가 첫 조선 대표팀이었다.[1]
전쟁으로 대회가 중단되기도 했지만, 1946년 재개 후 꾸준히 발전했다. 1978년부터 1현 1대표제가 확립되어 현재의 대회 형태가 되었다.
1992년 마쓰이 히데키 5타석 연속 고의사구 사건, 1998년 마쓰자카 다이스케의 결승전 노히트 노런, 2006년 결승전 무승부 재경기 등 많은 명승부와 화제가 있었다.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대회가 취소되기도 했지만, 2023년부터 열사병 대책으로 쿨링 타임을 도입하는 등 선수 안전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2. 1. 대회 창설과 초기 (1915년 ~ 1945년)

- 1915년(제1회): 전국 중등학교 우승 야구 대회가 도요나카 구장에서 개최되었다.
- 1916년(제2회): 패자부활제가 시행되었다(다음 해인 1917년까지).
- 1917년(제3회): 대회 장소가 나루오 구장으로 변경되었다.
- 1918년(제4회): 쌀 폭동의 영향으로 출전 학교는 모였지만 대회가 중단되었다.
- 1921년(제7회): 당시 식민지였던 조선 대표와 만주 대표가 처음으로 출전하였다. 첫 조선 대표팀은 부산공립상업학교였다.
- 1924년(제10회): 대회 장소가 한신 고시엔 구장으로 변경되었다.
- 1941년(제27회): 태평양 전쟁의 영향으로 지구 예선 도중에 중지되었다(~ 1945년).
2. 2. 전후 재개와 발전 (1946년 ~ 1977년)
1946년(제28회), 전국중등학교야구연맹이 결성되면서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에서 대회가 재개되었다.[18] 이 대회는 리큐 대학 교수를 역임하고 전후 GHQ의 장교로 재일한 폴 러시(ポール・ラッシュ) 박사가 젊은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스포츠를 부활시키는 것이 전후 일본의 부흥에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하여 대회 부활에 힘써 개최한 것이었다.1948년(제30회)에는 학제개혁에 따라 전국고등학교야구선수권대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58년(제40회)에는 미국 통치하에 있던 오키나와현(沖縄県) 대표가 처음으로 본선에 출전했다. 오키나와현 대표는 류큐열도 미군정(琉球列島米国民政府) 발행의 여행 증명서를 소지하고 참가했다.
1969년(제51회)에는 마쓰야마 상과 미사와의 결승전이 무승부 재경기로 치러졌다. 다음 날 재경기에서 마쓰야마 상이 승리하여 우승했다.
2. 3. 1현 1대표제와 현재 (1978년 ~ 현재)
1978년(제60회)부터 전국 각 도도부현(홋카이도, 도쿄는 2개 대표) 대표 49개교가 참가하게 되었다.[17] 1979년(제61회)부터 공식적으로 현행 49개 대표 제로 개최되고 있다.1992년(제74회) 고치현(高知県) 대표 메이토쿠기주쿠가 이시카와현(石川県) 대표 세이류의 마쓰이 히데키(松井秀喜)에 대해 5타석 연속 고의사구를 실행하여 논란이 되었다.
1998년(제80회) 가나가와현 대표 요코하마의 마쓰자카 다이스케(松坂大輔)가 결승전에서 노히트노런을 달성했다.
2006년(제88회) 고마자와 도마코마이 대 와세다 실업 경기가 대회 사상 두 번째(연장 15회 무승부 재경기 제도 이후 최초) 결승전 무승부 재경기였다.
2018년(제100회)부터 연장전 13회부터 타이브레이크 제도가 처음으로 적용되었다.
2020년(제102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 유행을 고려하여 대회가 중단되었다(79년 만에 세 번째).
2023년(제105회)부터 열사병(熱中症) 대책의 일환으로 각 경기 5회말 종료 시에 '#쿨링(급수)타임' (축구에서 말하는 ‘하프타임’에 준함)이 10분간 마련되었다.
3. 경기 방식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의 경기 방식은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발 대회와 마찬가지로 9이닝 단판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1] 2021년까지는 결승전을 제외하고 날씨 등으로 경기가 중단될 경우 7이닝 완료 시 공식 경기로 인정되었으나, 2022년부터는 콜드 게임이 적용되지 않는 한 9이닝을 모두 치러야 한다. 악천후로 경기가 중단되면 중단된 시점부터 경기를 재개한다. 지명타자 제도는 사용되지 않는다.[1]
1라운드 대진표와 시드는 추첨으로 결정되며, 34개 팀이 1라운드, 15개 팀이 시드를 받아 2라운드(32강)에 진출한다. 우승을 위해서는 5~6승이 필요하다. 4강전까지는 매일 최대 4경기씩 진행되며, 경기 시작 시간은 아래 표와 같다. 다음 경기는 이전 경기가 끝난 후 약 30분 후에 시작된다.
토너먼트 일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A | 12 |
---|---|---|---|---|---|---|---|---|---|---|---|---|---|
라운드 | 1차전 | 1차전 | 1차전 | 1차전 | 1차전/2차전 | 2차전 | 2차전 | 2차전 | 2차전 | 3차전 | 3차전 | 휴식 | 8강전 |
경기 | 3 | 4 | 4 | 4 | 3 | 4 | 4 | 4 | 3 | 4 | 4 | 첫 번째 | 4 |
colspan="14" | | |||||||||||||
토너먼트 일자 | B | 13 | C | 14 | |||||||||
라운드 | 휴식 | 준결승 | 휴식 | 결승 | |||||||||
경기 | 두 번째 | 2 | 세 번째 | 1 |
1958년부터 연장전 이닝 제한이 도입되었다. 1999년까지는 연장 18회, 2000년부터 2017년까지는 연장 15회까지 승부가 나지 않으면 무승부로 처리하고 재경기를 했다. 2018년부터는 연장전에 타이브레이크 제도를 도입하여, 2023년부터 연장 10회부터 적용된다.
2021년까지 우천 등으로 7회 이전에 경기가 중단되면 노 게임으로 재경기를 했으나, 2022년부터 서스펜디드 게임 제도를 도입, 중단 시점부터 경기를 재개한다. 선수 건강 관리를 위해 2002년까지 4강전 4경기를 하루에 진행했으나, 2004년부터 이틀간 2경기씩 나눠 진행한다.
3. 1. 대표 학교 및 지방 대회
대표 학교는 원칙적으로 각 부현 1개교씩이지만 홋카이도는 북 홋카이도·남 홋카이도로 2개,[113] 도쿄도는 동 도쿄·서 도쿄로 2개로 나뉘어[114] 합하면 49개 학교가 된다. 6월 중순부터 7월 하순에 걸쳐 실시하는 지방 대회에서 승리한 학교는 전국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대회는 지방 대회, 전국 대회 모두 녹아웃 토너먼트로 개최된다. 또한 제59회(1977년)까지(기념 대회를 제외) 학교 수가 적은 부현은 2개 부현이 1개의 대표를 선정하고 있었다.1패도 용납되지 않는 토너먼트 방식의 예선에서 이기는 것은 모든 팀에게 매우 어렵다고 여겨지고 있다. 전국의 참가 학교는 현재 약 4,000개 이상이다. 도도부현 별로는 제60회(1978년) 이후 250개의 참가 학교가 있는 홋카이도와 도쿄도에서 각 2개 학교를 내는 것 외에는 40개 학교 미만(예 : 야마나시현·후쿠이현·와카야마현·돗토리현·가가와현·도쿠시마현·고치현)의 작은 지구에서도, 150개 학교 이상(예 : 사이타마현·지바현·가나가와현·아이치현·오사카부·효고현)의 큰 지구에서도 각 부현 모두 1개 학교씩 뿐이다. 특히 제92회(2010년) 현재, 아이치 현의 지방 대회는 참가 학교가 가장 많기 때문에 대단히 좁은 문이 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15] 반대로 참가 학교가 제일 적은 지방 대회는 돗토리 현이다.
제80회(1998년) 이후로는 홋카이도와 도쿄 도를 포함하고 참가 팀이 150개 학교를 넘는 사이타마 현·지바 현·가나가와 현·아이치 현·오사카 부·효고 현의 6개 부현이 각각 참가팀 2개 학교로 확대되었다.[116] 제90회(2008년) 대회에서도 제80회와 같이 앞의 6개 부현이 2개 학교로 확대되고 있다.[117]
지방 대회의 기본적인 룰은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발 대회와 같이 개최 연도의 공인 야구 규칙, 고교 야구 특별 규칙 등에 준거하면서 행해진다. 지방 대회에서는 득점 차이에 의한 콜드 게임 제도가 실시되고 있는데 단, 결승전에 대해서는 콜드 게임이 적용되지 않는다.
과거에는 해외 팀들도 이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1921년부터 1940년까지 팀을 출전시켰고, 타이완과 만주도 1923년부터 1940년까지 팀을 참가시켰다.
결승 토너먼트에 참가하는 49개 학교는 일본 각 현의 지역 우승 학교들이다 (홋카이도와 도쿄는 각각 두 학교씩). 6월 중순부터 7월까지 지역 예선이 열려 고시엔에 진출할 학교들을 결정한다.[1]
규정은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발 대회와 동일하다. 9이닝 경기로 진행되는 단판 토너먼트이다. 2021년까지는 날씨 등으로 경기가 중단될 경우 결승전을 제외하고 7이닝 완료 시 공식 경기로 인정되었으나, 2022년부터는 콜드 게임이 적용되지 않는 한 9이닝 경기를 해야 한다. 악천후로 경기가 중단되면 중단된 시점부터 재개하여 전 경기를 치른다. 지역 예선에서는 결승전을 제외하고 5이닝 이후 10점 차 이상 또는 7이닝 이후 7점 차 이상이면 경기가 종료된다. 지명타자 제도는 사용하지 않는다. 야간 경기에는 외야 라인 심판 2명이 추가되지만, 그 외에는 심판 4명이 경기를 진행한다.
6월 중순부터 7월 하순에 걸쳐 각 도도부현 고등학교 야구 연맹과 아사히 신문사가 주최하는 지방 대회를 통과한 우승 학교가 대표 학교가 되어 전국 대회 출전 자격을 얻는다.
현재 전국 대회 주최자인 아사히 신문사가 모든 지방 대회의 주최자이지만, 원래 각 지역에 존재했던 다른 단체 주최의 야구 대회를 지방 대회로 간주하고, 그러한 야구 대회가 없는 지역에 한해 주최자 또는 후원자가 되어 지방 대회를 개최해 온 경위가 있으며[18], 사실상 예선이기는 하지만, 지방 대회는 전국 대회와는 독립된 대회이다. 참고로, 예선이라는 용어는, 현재는 소멸한 복수의 부현을 대상으로 하는 지방 대회의 부현 예선과 같이, 지방 대회 이하의 레벨에서 사용된다.
지방 대회도 전국 대회와 마찬가지로 승자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과거 일부 지방 대회에서는 전국 대회에서도 한때 채택되었던 패자부활전이나 리그전이 채택된 적도 있었다. 모든 지방 대회 참가 학교는 3500개교 전후에 달하며, 1990년(제72회)부터 2011년(제93회)까지는 4000개교를 넘었다.[19]
지방 대회의 기본적인 규칙은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발 대회(선발=봄 고시엔)와 마찬가지로 개최 연도의 공인 야구 규칙, 아마추어 야구 내규, 고교 야구 특별 규칙에 따라 진행된다. 지방 대회에서는 점수 차에 의한 콜드 게임 제도(5회 10점 차 이상, 7회 7점 차 이상)가 실시되고 있다[20]. 단, 결승전에 한해서는 콜드 게임이 적용되지 않고, 2023년(제105회)까지는 9회 공격 종료가 되지 않으면 노 게임이 되었다(2022년·2023년은 일부 지역만).
2022년(제104회)부터 전국 대회에 도입된 서스펜디드 게임(계속 경기)은 지방 대회에 대해서는 각 지역의 고교 야구 연맹이 판단했지만(2022년은 35개 지방 대회[21], 2023년은 미야기 대회를 제외한 48개 지방 대회에서 적용[22]), 2024년(제106회)부터는 모든 지방 대회에 도입되어 지방 대회에서도 콜드 게임이나 노 게임이 없어졌다.[23]
지방 대회를 승리하여 우승한 학교에 지방 대표로서 전국 대회 출전권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일관되어 있으며, 지방의 범위가 도도부현보다 작아지는 경우에도 1위 대표, 2위 대표와 같은 상위 학교 방식이 아니라 동서 또는 남북으로 이분하여 지방 대회를 2개 대회 개최하고 지방 대표 학교가 1개교씩 2개 대표가 된다.
지방의 범위가 도도부현을 기본으로 하는 것은 후년의 일이며, 원래는 복수의 도현을 기본으로 했다. 1915년(제1회)에는 지방 대회의 수, 즉 대표 학교는 10개교였다.[24][25]. 이후 참가 도현의 증가에 따라 매년 지방 대회의 증설이나 편성 변경을 반복하여 1926년(제12회)까지 12개 늘어 22개 대표가 되었다. 이후 지방 대회의 편성 변경은 있었지만 1941년(제27회)까지 22개 대표 제도가 계속되었다.
참가 학교가 많은 간사이 지방에서는 제1회 대회부터 대표 자리가 3개 마련되어 지리적으로 효고현이 단독 대표가 되고, 1916년(제2회)부터 4개 마련되어 오사카부도 단독 대표가 되었다. 후년에 2개 대표가 되는 홋카이도는 1920년(제6회)부터, 도쿄도(당시 도쿄부)는 1923년(제9회)부터 각각 단독 대표가 되었다(도쿄부는 제1회 대회도 사실상 단독 대표였다).
복수의 부현을 대상으로 하는 지방 대회에서도 나가노현(북륙→갑신→갑신에쓰→신에쓰), 아이치현(동해), 교토부(경진/경자)는 다른 현을 압도하고 있으며, 시가현(경진/경자→복자)은 봄보다 여름 쪽이 출전 횟수가 적을 정도였다. 이 때문에 역대 출전 횟수・우승 횟수・승리 수 등의 도도부현 랭킹에 대해 유리 불리한 점이 존재하지 않는가라고 말해지고 있다.[24].
제2차 세계 대전에 따른 1942년부터 1945년의 중단을 거쳐, 1946년(제28회)부터 조선・만주・대만의 구외지 3개 대표 자리가 없어져 19개 대표 제도로 감소하여 재개되었다. 또, 전후 미국의 통치하에 놓인 오키나와현이 1951년(제33회)까지 불참이었다(오키나와현의 본토 복귀는 1972년).[26].
1948년의 학제 개혁에 의해 남녀 공학이 실시되면, 그때까지 여학교였던 학교에도 야구부가 발족하여, 참가 학교가 지금까지 없던 속도로 배증에 가까운 규모로 증가했다. 그 후에도 고등학교 진학률의 상승과 신설 학교 급증에 따라 참가 학교가 증가하여 지방 대회의 증설이나 편성 변경도 진행되어, 참가 학교가 많고 면적도 넓은 홋카이도는 1959년(제41회)부터 북홋카이도・남홋카이도의 남북 2개 대표, 참가 학교가 압도적으로 많았던 도쿄도는 1974년(제56회)부터 동도쿄・서도쿄의 동서 2개 대표가 되었다.
1978년(제60회)부터 매년 1부현 1개교・홋카이도와 도쿄도는 2개교의 49개 대표 제도가 되었다.
다음 기념 대회에서는 지방 대회가 증설되어 대표 자리가 증가했다.
- 1958년(제40회): 1부현 1대표(47대표).
- 1963년(제45회): 상동(48대표).
- 1968년(제50회): 상동(48대표).
- 1973년(제55회): 상동(48대표).
- 1998년(제80회): 홋카이도・도쿄도에 더해 참가 학교가 128개교를 넘는 사이타마현・지바현・가나가와현・아이치현・오사카부・효고현의 6부현도 2개 대표(55대표).
- 2008년(제90회): 상동(55대표).
- 2018년(제100회): 상술한 8도부현에 더해 후쿠오카현도 2개 대표(56대표).
참가 학교가 많아 2개 대표가 되는 도부현에서는 동서 또는 남북의 지방 대회의 경계가 참가 학교에 따라 변경된 적이 있다. 한편, 매년 1부현 1대표가 된 이후 참가 학교가 적은 현이 복수의 현을 대상으로 하는 지방 대회로 돌아간 적은 없다. 또, 지방 대회에서 우승하려면 참가 학교가 129개교 이상이 되는 경우 최대로 8연승해야 한다. 한편, 31개교 이하가 되는 경우 최소 4연승하면 된다는 격차가 있다.
3. 2. 경기 편성 및 추첨
대회 직전에 열리는 대진표 편성 추첨회에서 3회전까지의 편성이 결정된다.[118] 준준결승 4경기와 준결승 2경기는 각각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추첨으로 결정된다.[118] 초기에는 한 번의 추첨으로 결승전까지의 대진을 결정했으나, 출전 학교 수가 증가하면서 3회전까지는 사전 추첨, 준준결승과 준결승은 경기마다 추첨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18]1978년부터 2006년까지는 인접한 현끼리의 대전을 피하기 위해 도카이, 긴키, 호쿠신에쓰 지역을 경계로 동서 대결 방식으로 추첨했다.[119] 그러나 이 방식은 경계 지역 학교 간의 첫 경기 대결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어, 2007년부터는 동서 대결 방식을 폐지하고 자유 추첨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20] 다만, 도쿄도와 홋카이도 대표팀은 첫 경기에서 만나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120]
2002년까지는 준준결승전을 하루에 모두 진행했으나, 2003년부터 선수 건강 관리를 위해 이틀에 걸쳐 2경기씩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21] 우천 등으로 일정이 3일 이상 지연될 경우에는 하루에 4경기를 모두 진행하기도 한다.[121]
추첨 방식의 변천은 다음과 같다:
기 간 | 추첨 방법 |
---|---|
1915년(제1회)-1918년(제4회) | (불명) |
1919년(제5회)-1921년(제7회) | 전 경기 추첨. |
1922년(제8회)-1926년(제12회) | (불명) |
1927년(제13회)-1941년(제27회) | 전 경기 추첨. |
1946년(제28회)-1951년(제33회) | 현행과 같은 야구라 방식. |
1952년(제34회)-1994년(제76회) | 전 경기 추첨. 1회전·2회전·3회전·8강전의 각 최종일에 고시엔 구장에서 공개 추첨 형식으로 일괄 결정했다. 1952년 8월 11일 아사히 신문 지상에 “이번 대회부터 3일차 1경기의 1회전(7경기 14팀)의 편성과, 부전승 제비를 뽑은 나머지 9팀에 의한 2회전의 대진을 결정하는 것만으로, 승리한 팀이 어느 팀과 대결하는지는 다음 추첨까지 결정되지 않는 방식을 취했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1958년(제40회)와 1963년(제45회)는 기념 대회로서 1개 현 1개 대표 제도를 채택하여 출전교가 증가했기 때문에, 3회전까지의 조합을 사전에 결정했다. 또한, 1979년(제61회) 이후 1개 도도부현 1개교(홋카이도는 남북, 도쿄는 동서 2개교)가 정규화된 후 2006년(제88회)까지 인접 도도부현·지역끼리 첫 경기에서 대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동서 대항전” 방식을 채택했다. |
1995년(제77회)-2012년(제94회) | 추첨회에서 3회전까지의 조합을 결정하고, 8강전과 준결승전은 그때그때 결정한다. 경기 전에 승패가 결정되지 않은 팀의 추첨에 관해서는 1루 쪽 팀이 추첨을 실시했다. |
2013년(제95회)-2016년(제98회) | 전 경기 추첨. 추첨 방법은 다음과 같다. |
2017년(제99회) 이후 | 사전 추첨으로 3회전까지 결정하는 방식으로 되돌린다. 8강전 추첨 방법은 2013년(제95회) 이후의 것을 계속한다. 2022년(제104회) 이후 8강전 추첨은 연전에 의한 선수의 건강 피해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3회전과 8강전 사이에 휴양일을 마련하고, 3회전 1일차에 해당하는 10일차의 승자 4팀은 1·2경기부터, 3회전 2일차에 해당하는 11일차의 승자 4팀은 3·4경기부터 뽑는다(10일차의 승자는 이틀, 11일차의 승자는 하루 간격으로 8강전 경기가 된다). |
3. 3. 연장전 및 재경기
1958년(제40회)부터 1999년(제81회)까지는 연장 18회, 2000년(제82회)부터 2017년(제99회)까지는 연장 15회까지 승부가 결정되지 않으면 무승부로 경기가 종료되고, 추후 재경기가 실시되었다. 단, 우천 등으로 동점인 채 경기가 종료되고 추후 재경기가 실시된 사례도 있다.2018년(제100회)부터 연장전에 타이브레이크 방식을 도입했다. 연장 13회부터 타이브레이커가 적용되었으며, 2023년부터는 연장 10회부터 적용된다. 연장전은 경기가 끝날 때까지 진행된다. 1957년(제39회) 이후 61년 만에 연장 이닝 수가 무제한이 된 것이다.
2021년(제103회)까지 우천 등 부득이한 사정으로 경기를 중단·종료하는 경우, 경기가 7회 이후에 들어갔다면 성립(콜드게임)으로 간주했다. 7회 이전이라면 미성립(노게임)이 되어 다음 날 이후에 재경기가 실시되었다. 단, 결승전은 지방 대회·전국 대회 모두 경기가 9회 종료되지 않으면 노게임이 되었다.
2022년(제104회)부터 우천 등으로 경기가 중단된 경우, 다음 날 이후에 중단된 시점부터 재개하여 9회 완료 또는 승부가 결정될 때까지 진행하는 서스펜디드 게임(계속 경기)을 채택했다. 이에 따라 전국 대회에서는 콜드게임이나 노게임이 없어졌다.[33][34]
3. 4. 기타 규칙
규정은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발 대회와 동일하다. 9이닝 경기로 진행되는 단판 토너먼트이다. 2021년까지는 날씨 등으로 경기가 중단될 경우 결승전을 제외하고 7이닝 완료 시 공식 경기로 인정되었으나, 2022년부터는 콜드 게임이 적용되지 않는 한 9이닝 경기를 해야 한다. 악천후로 경기가 중단되면 중단된 시점부터 재개하여 전 경기를 치른다. 지역 예선에서는 결승전을 제외하고 5이닝 이후 10점 차 이상 또는 7이닝 이후 7점 차 이상이면 경기가 종료된다. 지명타자 제도는 사용하지 않는다.[1] 선수들의 건강 관리를 위해 2004년부터 준준결승은 1일 2경기씩 2일간 개최되거나, 휴식일이 추가되기도 한다.[27][28]9회까지 경기가 동점인 경우 연장전을 실시한다. 1958년(제40회)부터 1999년(제81회)까지는 연장 18회, 2000년(제82회)부터 2017년(제99회)까지는 연장 15회까지 승부가 결정되지 않으면 무승부로 경기가 종료되고, 추후 재경기가 실시되었다.
2018년(제100회)부터 연장전에 타이브레이크 방식을 도입했다. 연장 10회 이후, 경기가 끝날 때까지 진행된다.
2021년(제103회)까지 우천 등 부득이한 사정으로 경기를 중단·종료하는 경우, 경기가 7회 이후에 들어갔다면 성립(콜드게임)으로 간주했다. 7회 이전이라면 미성립(노게임)이 되어 다음 날 이후에 재경기가 실시되었다. 단, 결승전은 지방 대회·전국 대회 모두 경기가 9회 종료되지 않으면 노게임이 되었다.
2022년(제104회)부터 우천 등으로 경기가 중단된 경우, 다음 날 이후에 중단된 시점부터 재개하여 9회 완료 또는 승부가 결정될 때까지 진행하는 서스펜디드 게임을 채택했다.[33][34]
4. 개회식 및 폐회식
대회 주제가는 栄冠は君に輝く|에이칸와키미니카가야쿠|영광은 너에게 빛난다일본어이다.
경기 시작과 종료를 알리기 위해 공습경보 사이렌을 사용하며, 이 전통은 1936년부터 이어져 오고 있다.[2]
5년마다 대회 창립 기념일을 기념하며, 우승 깃발에 진홍색을 사용한다. 또한, 기념 대회에서는 토너먼트 후반부 참가자 수가 증가하며, 고시엔 구장 건립 100주년 및 대회 고시엔 구장 이전을 기념하기 위해 2024년(제106회)에는 예외가 적용되었다.
3학년 선수들에게 대회에서의 패배는 고등학교 야구 선수 생활의 끝을 의미한다. 접전 후 패배하거나 긴장감 넘치는 경기 후에 선수들이 슬픔에 잠겨 우는 모습은 흔하다. 경기 후에는 기념으로 고시엔 구장 내야의 흙을 모으는 것이 일반적인 전통이다.
1958년, 오키나와가 미국 통치하에 있을 때, 오키나와 슈리 야구팀이 처음으로 봄과 여름 대회에 참가했다. 여름 대회 1라운드에서 패배한 후, 경기 후 내야 흙을 가져가려 했으나 "외국 흙"으로 간주되어 오키나와로 가져가지 못하고 항구에서 버려야 했다.[3] 이 소식을 들은 일본항공 승무원들이 니시노미야 해안의 돌을 주워 슈리 팀에 기증했고, 이 돌들은 학교 운동장에 友愛の碑|유아이노이시부미|우애의 비일본어라는 기념비로 전시되어 있다.[4]
2018년 (제100회) 대회부터 더위 대책을 위한 “쿨링 브레이크(급수타임)”이 도입되었다.[35] 2023년(제105회)부터는 5회말 종료 후 10분간 “급수타임”이 실시되어, 선수들은 쿨링 스페이스에서 아이스팩 마사지나 스포츠 음료 섭취 등으로 쿨다운을 한다.[36][37] 2024년(제106회)부터는 경기 시작이 16시 이후인 경우에는 실시되지 않는다.[38]
4. 1. 개회식
개회식은 개회사, 선수 입장, 국기 게양, 대회기 게양, 우승기 반환, 선수 선서, 대회 노래 연주, 선수 퇴장 순으로 진행된다.개회사가 끝난 후에는 팡파르가 울린다.[74]
선수 입장은 라이트 스탠드와 1루측 알프스 사이에 설치된 게이트를 통해 진행된다. 이때 연주되는 곡은 야마다 고사쿠가 작곡한 "대회 행진곡"이다. 봄에 열리는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와는 다르게, 유행가를 사용한 입장 행진곡은 따로 없다.[74] 선수단은 선도자, 국기, 대회기 순으로 입장하며, 전년도 우승 학교가 가장 먼저 입장한다. 이후 다른 학교들이 순서대로 입장하여 외야 쪽에 정렬하고, 모든 학교가 모이면 백네트 방향으로 전진한다.
1949년부터 니시노미야 시립 니시노미야 고등학교 학생들이 국기, 대회기, 그리고 각 학교의 플래카드를 들고 입장한다.[74] 이 학생들은 '플래카드 걸'이라고도 불린다.
국기와 대회기 게양이 끝나면, 전년도 우승 학교가 우승기를 반환한다. 이어서 선수 선서가 진행되며, 대회 노래 연주와 함께 선수단이 퇴장하는 것으로 개회식이 마무리된다.
4. 2. 폐회식
閉会式|헤이카이시키|lead=yes일본어는 선수 입장, 심판위원장 강평, 우승기 및 우승 상패 수여, 준우승 상패 수여, 우승 및 준우승 메달 수여, 대회 회장 폐회사, 대회기 강하, 국기 강하, 장내 일주, 퇴장, 蛍の光|호타루노히카리|lead=yes일본어(작별의 노래) 연주 순으로 진행된다.# 개식사
#: 개회식과는 다른 고등학생(방송부원)이 폐회식 개막 인사를 한다.
# 선수 입장·정렬
#: 학교 이름 플래카드는 개회식에서 우승교·준우승교를 담당했던 니시노미야시립 니시노미야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이 들고 있다. 선수들은 스파이크화를 신은 채 입장한다.
# 심판위원장 강평
#: 일본고등학교야구연맹 회장이 강평을 한다.
# 우승기·우승패 수여
#: 대회 회장인 아사히 신문사 사장이 우승교 주장에게 우승기를, 부주장에게 우승패를 수여한다.
# 준우승패 수여
#: 대회 회장인 아사히 신문사 사장이 주장에게 수여한다.
# 우승메달 수여·준우승 메달 수여
#: 대회 회장인 아사히 신문사 사장이 수여한다.
# 대회 회장의 폐회 인사
#: 아사히 신문사 사장이 한다.
# 대회기·국기 하강
#: 선수·임원은 모자를 벗고, 게양대 쪽을 향한다.
#: 2007년(제89회)까지는 결승전 출전 선수가 스코어보드에 올라가 하강을 했지만, 스코어보드 개수 공사에 따라 폐지되었다.
# 우승교·준우승교 선수 경기장 1주회(대회가 팡파르 연주)
#: 내야 쪽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1주회 한다. NHK 방송은 도중에 방송이 종료된다(경기가 일찍 끝나 방송 시간이 남으면 1주회를 끝내고, 최대 蛍の光|호타루노히카리|lead=yes일본어 연주 후까지 방송하는 해도 있다).
# 폐식사
#: 폐회사와 함께 사회를 맡았던 고등학생이 자기소개를 한다.
# 팡파르
#: 연주자(간사이 관악 연맹 일부 회원)가 백스크린에 정렬하여 개회식과 같은 팡파르를 연주한다.
#: 오로라 비전에는 이 타이밍에 「'''감사했습니다. 안녕히 가십시오'''」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 蛍の光|호타루노히카리|lead=yes일본어 합창·연주
#: 蛍の光|호타루노히카리|lead=yes일본어 합창·연주 후, 간사이 관악 연맹과 간사이 합창 연맹은 3루 쪽 알프스석에서 퇴장한다. 경기장에는 오르골의 「栄冠は君に輝く|에이칸와키미니카가야쿠|lead=yes일본어(영광은 너에게 빛난다)」가 흐른다. 폐회식 후에는 사진 촬영과 인터뷰가 이루어진다.
5. 상징과 문화
대회 주제가는 栄冠は君に輝く|영광은 너에게 빛난다|eikan wa kimi ni kagayaku일본어이다. 경기 시작과 종료를 알리는 공습경보 사이렌은 1936년부터 사용되었다.[2] 기원은 알 수 없지만, 당시 대중매체가 발달하기 전이라 관중과 관계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2]
5년마다 대회 창립 기념일을 기념하여 우승 깃발에 진홍색을 사용한다. 기념 대회에는 토너먼트 후반부 참가자 수가 증가하며, 고시엔 구장 건립 100주년 및 대회 고시엔 구장 이전을 기념하기 위해 2024년(제106회)에는 예외가 적용되었다.
3학년 선수들에게 패배는 고등학교 야구 선수 생활의 끝을 의미하며, 접전 후 패배하거나 긴장감 넘치는 경기 후에 선수들이 우는 모습은 흔하다.
아사히 신문사 항공부는 헬리콥터를 이용해 개막 경기 시구식에 사용할 공을 경기장 상공에서 투하한다.[48] 이는 축하 비행이라고 불리며, 나루오 구장 시대인 1923년(제9회)부터 이어져 오고 있다.[49] 초기에는 비행기가 사용되었지만, 1956년(제38회)부터 헬리콥터가 사용되기 시작했다.[49] 투하되는 야구공에는 아사히 신문사 사기(서일본판)가 부착되어 있다.
매년 8월 15일 종전 기념일 정오에는 선수와 관객 모두 1분간 묵념을 하고, 사이렌이 울리며 경기는 일시 중단된다.[2] 이는 1963년부터 실시되었다.[53] 히로시마현・나가사키현 대표는 원자폭탄 투하 시각에 맞춰 묵념을 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를 배경으로 예상치 못한 드라마틱한 결과가 자주 나오는 것을 비유하여 ‘'''고시엔에는 마귀가 있다'''’(甲子園には魔物が棲む|고시엔니와 마모노가 스무일본어)라는 말이 있다.[2]
일본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는 대중문화에서 자주 등장한다. 아다치 미츠루의 ''터치'', ''H2'', ''크로스 게임'', 테라지마 유지의 ''다이아몬드 에이스'', 미츠다 타쿠야의 ''메이저'' 등이 대표적인 만화 및 애니메이션이다.[3] 2014년 크게 흥행한 대만 영화 ''카노''는 국립자이대학교의 전신인 가기 농림고등학교 야구팀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3] 2023년, TBS는 '게코쿠죠 큐시(Gekokujō Kyūshi)'라는 책을 바탕으로 실사 드라마를 제작했다.[9][10][11]
5. 1. 고시엔의 흙
3학년 선수들에게 이 대회 결승전 이외의 경기에서 패배하면 고교 야구 인생이 끝난다는 의미를 담아 "'''여름이 끝나다'''"라고 표현한다.[122] 대회 도중 탈락한 팀이 경기 종료 직후 고시엔의 흙을 주워 담는 광경은 종종 보도에서도 다루어진다.이러한 전통은 1946년 제28회 대회에서 시작되었다. 그 해 우승 학교인 나니와 상업고에 패한 도쿄 고등 사범 부속중 (현 쓰쿠바 대학 부속 중학교·고등학교) 감독이 선수들에게 ‘자, 5학년(최상급생)은 괜찮으니까 나머지는 자신의 포지션에 가서 흙을 털어가지고 와라. 내년에 다시 여기에 돌려주러 오자’さあ、5年生(最上級生)はいいから、他は自分のポジションへ行って土を取ってこい。来年、またここへ返しに来よう일본어라고 말했고, 선수들이 각 포지션의 흙을 손수건에 싸 가지고 돌아갔던 것이 시초로 여겨진다.
우승팀·준우승팀은 경기 종료 직후 흙을 주워 담을 수 없고, 폐막식 도중 중계가 종료되기 때문에, 준결승전까지 탈락한 팀만이 하는 것으로 오해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우승팀·준우승팀도 폐막식이나 기념사진 촬영, 인터뷰 종료 후, 그라운드를 떠나기 직전에 흙을 줍고 있다. 1, 2학년 중에는 다시 한번 돌아온다는 의미를 담아 흙을 가져가지 않는 선수도 있다.
5. 2. 대회 노래
栄冠は君に輝く일본어는 고세키 유지가 작곡하고 이토 히사오와 콜롬비아 남성 합창단이 불렀으며, 1949년에 닛폰 콜롬비아에서 레코드를 발매, 1948년 제30회 대회부터 사용되었다.[123]1926년 제12회 대회에서는 후쿠타케 슈오(福武周夫)가 작사하고, 신지 키요시(信時潔)가 작곡한 전국중학교우승야구대회의 노래가 제정되었다. 이 곡은 폴리도르에서 제작한 육군 도야마 학교 합창단의 노래와 엔카시(演歌師) 토리토리 하루히(鳥取春陽)가 부른 커버곡으로 발매되었다. 9년 후에는 "행진곡"이 제정되었지만, 문어체 가사가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아 1947년 제29회 대회를 마지막으로 현재의 노래로 변경되었다.[123]
1935년 제21회 대회부터는 고정된 행진곡이 사용되고 있다.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의 대회가는 현재까지 3곡 모두 가사에 '고시엔'을 포함하고 있지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는 2곡의 대회 노래와 행진곡 모두 가사에 '고시엔'을 포함하지 않는다.
5. 3. 마스코트와 응원 문화
일본에서는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를 배경으로 예상치 못한 드라마틱한 결과가 자주 나오는 것을 비유하여 ‘'''고시엔에는 마귀가 있다'''’(甲子園には魔物が棲む|고시엔니와 마모노가 스무일본어)라는 말이 있다.[2]매년 8월 15일 종전 기념일 정오에는 선수와 관객 모두 1분간 묵념을 한다. 이때 사이렌이 울리고 경기는 일시 중단된다.[2] 이는 1963년부터 실시되었다.[53]
히로시마현・나가사키현 대표는 각각 원자폭탄 투하 시각에 맞춰 독자적으로 묵념을 하는 경우가 있다.
5. 4. 대중문화 속 고시엔
일본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는 대중문화에서 자주 등장한다. 아다치 미츠루의 ''터치'', ''H2'', ''크로스 게임'', 테라지마 유지의 ''다이아몬드 에이스'', 미츠다 타쿠야의 ''메이저'' 등이 대표적인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3] 이들 작품은 고등학교 야구팀들이 고시엔 대회 진출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그린다.2014년 크게 흥행한 대만 영화 ''카노''는 국립자이대학교의 전신인 가기 농림고등학교 야구팀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3] 자이시에 있던 이 학교 야구팀은 1931년, 창단 후 세 시즌 동안 한 경기도 이기지 못하다가 처음으로 고시엔 대회에 진출했다.[3] 선수단은 일본인, 한족, 타이완 원주민으로 구성되었다.[3] 이 팀은 3승을 거두며 결승전에 올랐지만, 나고야의 주쿄 상업고등학교에 4-0으로 졌다.[3] 이는 카노 팀의 네 차례 고시엔 대회 진출 중 첫 번째였으며, 이후 1933년, 1935년, 1936년에도 출전했다.[3]
2023년, TBS는 '게코쿠죠 큐시(Gekokujō Kyūshi)'라는 책을 바탕으로 실사 드라마를 제작했다.[9][10][11] 이 책은 미에현의 작은 학교인 하쿠산 고등학교가 2018년 현 예선에서 이변을 일으켜 학교 역사상 처음으로 여름 고시엔 대회에 진출한 실화를 다룬다.
6. 논란과 문제점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는 선수 혹사, 학교 재정 부담, 경기 운영 방식 등 여러 논란과 문제점이 존재한다.
매년 8월 15일 제2경기 시작 전에 육성공로상 시상식이 있으며, 야구 명예의 전당 특별 표창 시상식도 개최된다. 당일 경기가 취소될 경우, 육성공로상 시상식은 8월 15일에 오사카시에서 열리고[51], 야구 명예의 전당 시상식은 그 다음날 이후 제2경기 시작 전에 열린다.[52]
서스펜디드 게임 미도입으로 인해, 대량 득점 차이가 나는 경기에서도 우천 등 천재지변 발생 시 노 게임이 선언되는 경우가 있어, 전날 경기에서 크게 이기고 있던 고등학교가 다음 날 재경기에서 패배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여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1]
- 관련 사례
대회 | 경기 | 내용 |
---|---|---|
제85회(2003년) | 고마자와 대학 부속 도마코마이 고등학교 vs 오카야마 현립 구라시키 공업고등학교 | 고마자와 대학 부속 도마코마이 고등학교가 8대 0으로 크게 앞선 상황에서 4회 도중 우천으로 노 게임이 선언되었다. 다음 날 재경기에서는 오카야마 현립 구라시키 공업고등학교가 5대 2로 승리했다. |
제91회(2009년) | 조스이칸 고등학교 vs 고치 고등학교 | 조스이칸 고등학교가 2대 0, 6대 5로 두 경기 모두 근소한 점수 차로 앞선 상황에서 대회 사상 최초로 이틀 연속 우천 노 게임이 선언되었다. 재경기에서는 고치 고등학교가 9대 3으로 승리했다. |
준준결승 후 재추첨으로 인해 경기 간 휴식일에 큰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어, 일부 팬들은 준준결승 후 추첨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
6. 1. 선수 혹사 문제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는 고교 야구 선수들에게 꿈의 무대이지만, 선수 혹사 문제는 오래전부터 지적되어 왔다.1933년 요시다 마사오는 준결승전에서 25이닝 동안 336개의 공을 던지며 완투 무실점을 기록했다.[1] 1958년 8강전에서는 반도 에이지가 18이닝 완투를 기록했고,[2] 1998년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17이닝 250구를 던지며 15이닝 이상 완투 경기를 던진 마지막 투수가 되었다.[3] 이처럼 과거에는 투구 수 제한이 없어 선수 혹사가 심각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조치가 시행되었다. 2018년부터는 연장전에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 야구 타이브레이커를 도입하여 연장 13회부터 1, 2루에 주자를 두고 공격을 시작하게 했다.[4] 2023년부터는 10회부터 타이브레이커 규칙이 적용된다.[5]
또한, 더위 속에서 경기를 치르는 선수들의 건강을 위해 2018년 대회부터 더위 대책을 위한 휴식 시간인 "쿨링 브레이크(급수타임)"을 설정하는 것이 허용되었고,[35] 2023년부터는 5회말 종료 후 원칙적으로 10분간 "급수 타임"이 실시된다.[37] 선수들은 이 시간에 아이스팩 마사지나 스포츠 음료 섭취 등으로 쿨다운을 할 수 있다. 2024년부터는 경기 시작이 16시 이후인 경우에는 급수 타임이 실시되지 않는다.[38]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선수 혹사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선수들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지속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6. 2. 학교 재정 부담
전국 대회 참가 시 각 학교 야구부의 원정 경비, 용품비, 응원단 버스 대여료 등은 긴키 지방(近畿圏)의 학교가 아닌 경우 수천만 엔에 달한다는 계산이 있다. 여름 고시엔(甲子園)에서 2경기를 치른 도쿠시마현(徳島県)의 공립 고등학교에서는 지출이 약 40억엔이었다고 보도되고 있다.[64]6. 3. 기타 문제점
서스펜디드 게임을 도입하지 않아, 대량 득점 차이가 나는 경기에서도 우천 등 천재지변으로 노 게임이 선언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전날 경기에서 크게 이기고 있던 고등학교가 다음 날 재경기에서 패배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여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1]- 사례
대회 | 경기 | 내용 |
---|---|---|
제85회(2003년) | 고마자와 대학 부속 도마코마이 고등학교 vs 오카야마 현립 구라시키 공업고등학교 | 고마자와 대학 부속 도마코마이 고등학교가 8대 0으로 크게 앞선 상황에서 4회 도중 우천으로 노 게임이 선언되었다. 다음 날 재경기에서는 오카야마 현립 구라시키 공업고등학교가 5대 2로 승리했다. |
제91회(2009년) | 조스이칸 고등학교 vs 고치 고등학교 | 조스이칸 고등학교가 2대 0, 6대 5로 두 경기 모두 근소한 점수 차로 앞선 상황에서 대회 사상 최초로 이틀 연속 우천 노 게임이 선언되었다. 재경기에서는 고치 고등학교가 9대 3으로 승리했다. |
준준결승 후 재추첨으로 인해 경기 간 휴식일에 큰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이 때문에 일부 팬들은 준준결승 후 추첨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
7. 국제 교류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는 일본에서 개최되지만, 국제 교류의 역할도 수행해 왔다.
과거에는 해외 팀들도 이 대회에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1921년부터 1940년까지, 타이완과 만주는 1923년부터 1940년까지 팀을 참가시켰다.[1]
대회 종료 후에는 상위권 팀 선수들을 중심으로 해외 원정 팀이 구성되어 미국 등지를 방문하기도 한다.[124]
7. 1. 해외 원정
대회 종료 후, 기본적으로 상위권에 진출한 학교의 3학년 선수들을 모아 국제 친선을 주목적으로 하는 해외 원정 팀이 구성된다. 주로 미국을 방문하며, 대한민국이나 브라질 방문 기록도 있다.[124] 2006년 이후에는 캘리포니아주 컴프턴에 있는 메이저 리그의 야구 진흥 및 선수 육성 기관인 어번 유스 아카데미와 경기를 치르고 있다.선수와 코칭 스태프는 'J' 마크가 새겨진 모자와 'JAPAN' 문자가 새겨진 유니폼을 착용한다. 유니폼 소매에는 일장기가 부착되어 있으며, 수십 년간 변함없는 간소한 디자인(흰색 및 회색)을 유지하고 있다. 등번호는 1번(우승 투수)부터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순서로 배정된다. 따라서 투수는 대부분 한 자릿수 등번호를, 야수는 10번대 등번호를 받는다.
AAA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나 AAA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한 해도 있었지만, 2007년 AAA 아시아 선수권 대회부터 사용 배트가 목재로 변경되면서 선수권 출전 선수 선발로서는 최근 출전하지 않고 있다.
7. 2. 과거 해외 팀 참가
과거 해외 팀들도 이 대회에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1921년부터 1940년까지, 타이완과 만주는 1923년부터 1940년까지 팀을 참가시켰다.[1]7. 3. 한일 친선 고교 야구 대회
한일 친선 고교 야구 대회는 한일 양국 고교 야구 교류를 위해 별도로 개최되는 대회이다. 는 제거되었다.8. 미디어 중계
NHK는 1954년(제36회)부터 텔레비전 중계를 시작했다.[129] 1974년(제56회) 도카이 대학 부속 사가미 고등학교 대 가고시마 실업고등학교의 준준결승전이 연장되면서, NHK는 방송 시간을 연장했지만 18:55에 일기 예보 방송 때문에 중계를 종료해야 했다.[129] 시청자들의 항의가 쇄도하여 NHK는 일기 예보와 7시 뉴스 후 중계를 재개했다. 이 사건으로 1975년(제57회)부터 NHK는 종합 TV와 교육 TV(E테레)의 릴레이 방식으로 전 경기를 생중계한다.[130]
아사히 방송(ABC)은 1957년(제39회)부터 1회전부터 결승전까지 텔레비전 생중계를 하고 있다.[104]
8. 1. NHK 중계
NHK는 1954년(제36회)부터 텔레비전 중계를 시작했다.[129] 1974년(제56회)까지는 종합 TV만으로 18:00까지 중계했지만, 같은 해 준준결승전인 도카이 대학 부속 사가미 고등학교 대 가고시마 실업고등학교의 경기가 연장전에 돌입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NHK는 방송 시간을 연장했지만, 18:55에 일기 예보 방송을 위해 TV 중계를 종료해야 했다.[129] (단, 가고시마 지역만 18:59까지 연장했다.)이에 시청자들의 항의가 쇄도했고, NHK는 일기 예보와 7시의 뉴스가 끝난 뒤 중계를 재개해야 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NHK는 다음 해인 1975년(제57회)부터 종합 TV와 교육 TV(E테레)의 릴레이 방식으로 전 경기를 생중계하게 되었다.[130] 지상 디지털 방송에서는 이벤트 릴레이 기능을 이용해 릴레이 안내를 하고 있다.
1998년까지는 첫 경기에서 양 학교 관계자를 게스트로 불러 4인 체제로 중계를 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전 경기 아나운서와 해설자 2인 체제로 진행된다. 위성 제2 TV에서는 개회식, 준준결승, 준결승, 결승·폐회식만 방송한다.[132] 또한, 해외 지사인 NHK 월드 프리미엄에서는 준결승, 결승·폐회식을 방송한다.[133]
디지털 종합 텔레비전과 디지털 교육 TV에서는 하이비전 영상으로 방송되지만, 아날로그 종합 TV·아날로그 교육 TV·위성 제2 TV(아날로그·디지털)와 NHK 월드 프리미엄으로는 4:3의 영상으로 방송된다.[134]
방송 시간은 다음과 같다.
구분 | 평일 | 토요일 | 일요일 |
---|---|
종합 TV | 9:00 ~ 11:54, 13:50 ~ 18:00 | 8:35 ~ 9:00, 10:05 ~ 11:54, 13:05 ~ 18:00 |
교육 TV | 8:35 ~ 9:00, 11:54 ~ 13:50, 18:00 ~ 최종 경기 종료까지 | 9:00 ~ 10:05, 11:54 ~ 13:05, 18:00 ~ 최종 경기 종료까지 |
이는 기본적인 방송 시간이며, 지방 방송국에 따라서는 방송 시간이 확대되는 경우가 있다.
라디오제1방송에서도 전 경기를 중계한다. 중계 시간은 다음과 같다.
18:50분 이후에도 경기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18:50분부터 19:30분까지 뉴스·교통 정보·기상 정보 때문에 중단되지만,[136] 19:30분 이후에도 경기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19:30분부터 중계를 재개하여 경기 종료까지 중계한다. 현지 학교가 관계되는 지역에서는 오전에는 12:00까지, 오후에는 19:00까지 중계를 연장하는 경우가 있으며, 해당 지역은 교통 정보·기상 정보를 FM 방송으로만 중계한다. 매 시각 정각에는 시보 후 뉴스가 삽입되며(삽입 타이밍은 종합 TV와 거의 같음), 그 외에도 전국의 고속도로 정보도 수시로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2008년(제90회)까지는 NHK 월드 라디오 일본에서도 결승·폐회식만 라디오 제1 방송으로[137] 동시 방송을 실시하였다. 현재는 텔레비전과 동일하게 아나운서와 해설자만 2명이서 방송하고 있지만, 1985년(제67회) 이전에는 결승전을 제외하고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실황 중계를 하고 있었다.
8. 2. 민영 방송 중계
아사히 방송(ABC)은 1957년(제39회)부터 텔레비전 중계를 시작하여, 1회전부터 결승전까지 생중계하고 있다.[104] 스카이 A에서는 당일 저녁부터 녹화 방송을 한다. 텔레비 아사히 계열 방송국에서는 개회식 일부와 결승전(2014년까지)을 전국 중계한다.8. 3. 인터넷 중계
제공된 소스에는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의 인터넷 중계에 대한 정보가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은 작성할 수 없다.9. 역대 우승 학교
회차 | 연도 | 우승 팀 | 준우승 팀 | 최종 점수 | 비고 | |
---|---|---|---|---|---|---|
1 | 1915 | 교토 제2중학교 | 아키타 중학교 | 2–1 | ||
2 | 1916 | 게이오 대학 부속 고등학교 | 이치오카 중앙 | 6–2 | ||
3 | 1917 | 아이치 제1중학교 | 관세이 가쿠인 중학교 | 0–1 | ||
(재경기) | 1917 | 아이치 제1중앙 | 간사이 가쿠인 중앙 | 1–0 | 첫 경기는 3회말에 우천으로 취소됨 | |
1918 | 1918년 일본 쌀 소요사건으로 인해 대회 취소 | |||||
4 | 1919 | 고베 제1중학교 | 나가노 사범학교 | 7–4 | ||
5 | 1920 | 간사이 가쿠인 중앙 | 게이오 후츠부 | 17–0 | ||
6 | 1921 | 와카야마 중앙 | 교토 제1중학교 | 16–4 | ||
7 | 1922 | 와카야마 중앙 (2) | 고베 | 8–4 | ||
8 | 1923 | 고요 중학교 | 와카야마 중앙 | 5–2 | ||
9 | 1924 | 히로시마 | 마쓰모토 | 3–0 | ||
10 | 1925 | 다카마쓰 | 와세다 실업 | 5–3 | ||
11 | 1926 | 시즈오카 중앙 | 다이렌 | 2–1 | 다이렌은 1923년부터 1940년까지 대회에 참가한 만주 출신 팀 중 결승에 진출한 유일한 팀 | |
12 | 1927 | 다카마쓰 (2) | 고려 중앙 | 5–1 | ||
13 | 1928 | 마쓰모토 | 헤이안 | 3–1 | ||
14 | 1929 | 히로시마 (2) | 가이소 중앙 | 3–0 | ||
15 | 1930 | 히로시마 (3) | 스와 삼시 | 8–2 | ||
16 | 1931 | 츄쿄다이 츄쿄 | 가기 농림 고등학교 | 4–1 | 가기 농림 고등학교는 1923년부터 1940년까지 대회에 참가한 타이완 출신 팀 중 결승에 진출한 유일한 팀 | |
17 | 1932 | 츄쿄다이 츄쿄 (2) | 마쓰야마 | 4–3 | ||
18 | 1933 | 츄쿄다이 츄쿄 (3) | 헤이안 | 2–1 | ||
19 | 1934 | 고쿠 중앙 | 구마모토 공업 | 2–0 | ||
20 | 1935 | 마쓰야마 | 이쿠에이 | 6–1 | ||
21 | 1936 | 기후 | 헤이안 | 9–1 | ||
22 | 1937 | 츄쿄다이 츄쿄 (4) | 구마모토 공업 | 3–1 | ||
23 | 1938 | 헤이안 | 기후 | 2–1 | ||
24 | 1939 | 가이소 중앙 | 시모노세키 | 5–0 | 시마 세이이치가 결승전에서 노히트 노런을 기록함 | |
25 | 1940 | 가이소 중앙 (2) | 시마다 | 2–1 | ||
1942–45 |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대회 개최되지 않음 | |||||
26 | 1946 | 나니와 | 교토 제2중앙 | 2–0 | ||
27 | 1947 | 고쿠라 중앙 | 기후 | 6–3 | ||
28 | 1948 | 고쿠라 | 토인 | 1–0 | ||
29 | 1949 | 쇼난 | 기후 | 5–3 | ||
30 | 1950 | 마쓰야마 히가시 | 나루토 | 12–8 | ||
31 | 1951 | 헤이안 | 쿠마가이 | 7–4 | ||
32 | 1952 | 아시야 | 야츠오 | 4–1 | ||
33 | 1953 | 마쓰야마 | 토사 | 3–2 | ||
34 | 1954 | 츄쿄다이 츄쿄 (5) | 시즈오카 | 3–0 | ||
35 | 1955 | 욕카이치 | 사카이데 | 4–1 | ||
36 | 1956 | 헤이안 | 기후 | 3–2 | ||
37 | 1957 | 히로시마 | 호세이 제2 | 3–1 | ||
38 | 1958 | 야나이 | 도쿠시마 | 7–0 | ||
39 | 1959 | 사이죠 | 우쓰노미야 공업 | 8–2 | ||
40 | 1960 | 호세이 제2 | 시즈오카 | 3–0 | ||
41 | 1961 | 나미 | 토인 | 1–0 | ||
42 | 1962 | 사쿠신 가쿠인 | 쿠루메 | 1–0 | ||
43 | 1963 | 묘죠 | 시모노세키 | 2–1 | ||
44 | 1964 | 고치 | 하야토모 | 2–0 | ||
45 | 1965 | 미이케 공업 | 쵸시 | 2–0 | ||
46 | 1966 | 츄쿄다이 츄쿄 (6) | 마쓰야마 | 3–1 | ||
47 | 1967 | 나라시노 | 고려 | 7–1 | ||
48 | 1968 | 고코쿠 | 시즈오카 | 1–0 | ||
49 | 1969* | 마쓰야마 (2) | 미사와 | 0–0 (18) 4-2 | 첫 경기는 18이닝 제한에 도달. 무승부로 인해 재경기 진행. 오타 고지는 첫 경기에서 18이닝을 모두 던졌고, 재경기에도 등판함. | |
50 | 1970 | 도카이다이 사가미 | PL 가쿠엔 | 10–6 | ||
51 | 1971 | 토인 가쿠엔 | 이와키 | 1–0 | ||
52 | 1972 | 츠쿠미 | 야나이 | 3–1 | ||
53 | 1973 | 히로시마 | 시즈오카 | 3–2 | ||
54 | 1974 | 쵸시 상업 | 호후 | 7–0 | ||
55 | 1975 | 나라시노 | 니이하마 | 5–4 | ||
56 | 1976 | 오비린 | PL 가쿠엔 | 4–3 | ||
57 | 1977 | 토요다이 히메지 | 히가시쿠니 | 4–1 | 10회말 끝내기 만루 홈런으로 승리 | |
58 | 1978 | PL 가쿠엔 | 고치 상업 | 3–2 | ||
59 | 1979 | 미노시마 | 이케다 | 4–3 | ||
60 | 1980 | 요코하마 | 와세다 실업 | 6–4 | ||
61 | 1981 | 호토쿠 가쿠엔 | 교토 상업 | 2–0 | ||
62 | 1982 | 이케다 | 히로시마 상업 | 12–2 | ||
63 | 1983 | PL 가쿠엔 (2) | 요코하마 상업 | 3–0 | ||
64 | 1984 | 토리데 제2 | PL 가쿠엔 | 8–4 | ||
65 | 1985 | PL 가쿠엔 | 우베 상업 | 4–3 | "K-K 콤비"(쿠와타 마스미, 기요하라 가즈히로)를 중심으로 PL 가쿠엔이 우승을 차지함. | |
66 | 1986 | 텐리 | 마쓰야마 상업 | 3–2 | ||
67 | 1987 | PL 가쿠엔 (3) | 죠소 가쿠인 | 5–2 | ||
68 | 1988 | 히로시마 상업 | 후쿠오카 제일 | 1–0 | ||
69 | 1989 | 테이쿄 | 센다이 이쿠에이 | 2–0 | ||
70 | 1990 | 텐리 | 오키나와 수산 | 8–4 | ||
71 | 1991 | 오사카 토인 | 오키나와 수산 | 13–8 | 스즈키 이치로의 아이코다이 메이덴은 1회전에서 패배함. | |
72 | 1992 | 니시니혼 단다이 부속 | 타쿠다이 고료 | 1–0 | 마쓰이 히데키가 한 경기에서 5개의 고의사구를 얻음. | |
73 | 1993 | 이쿠에이 | 카스카베 교에이 | 3–2 | ||
74 | 1994 | 사가 상업 | 쇼난 | 8–4 | ||
75 | 1995 | 테이쿄 (2) | 세이료 | 3–1 | ||
76 | 1996 | 마쓰야마 상업 | 구마모토 공업 | 6–3 | ||
77 | 1997 | 치벤 와카야마 | 헤이안 | 6–3 | ||
78 | 1998 | 요코하마 | 교토 성성 | 3–0 | 마쓰자카 다이스케가 결승전에서 두 번째 노히트 노런을 기록함. | |
79 | 1999 | 키류 제1 | 오카야마 리다이 부속 | 14–4 | ||
80 | 2000 | 치벤 와카야마 | 도카이다이 우라야스 | 11–6 | ||
81 | 2001 | 니치다이-산 | 오미 | 5–2 | ||
82 | 2002 | 메이토쿠 기주쿠 | 치벤 와카야마 | 7–2 | ||
83 | 2003 | 죠소 가쿠인 | 도호쿠 | 4–2 | 다르빗슈 유의 도호쿠가 결승전에서 패배함. | |
84 | 2004 | 코마다이 토마코마이 | 사이비 | 13–10 | ||
85 | 2005 | 코마다이 토마코마이 (2) | 교토 외대 서 | 5–3 | ||
86 | 2006* | 와세다 실업 | 코마다이 토마코마이 | 1–1 (15) 4-3 | 와세다 실업의 사이토 유키가 2주 동안 6경기 완투, 69이닝, 948구를 기록했고, 그중 4경기 완투, 43이닝, 553구를 대회 마지막 4일 동안 기록함. 경기는 규정에 따라 15이닝 만에 종료됨. 현행 규정은 투수가 15이닝 이후 교체되고 10회부터 WBSC 2주자 타이브레이커가 적용됨. | |
87 | 2007 | 사가 북 | 고려 | 5–4 | 고려의 에이스 노무라가 4-0으로 리드. 8회말 노무라가 만루 볼넷을 내준 후 소에지마의 만루 홈런으로 사가 북이 우승을 차지함. | |
88 | 2008 | 오사카 토인 (2) | 토코하 기쿠가와 | 17–0 | 오쿠무라의 1회말 만루 홈런으로 오사카 토인의 공격이 토코하 기쿠가와를 압도함. 오사카 토인의 에이스 후쿠시마 유토가 완봉승을 거둠. | |
89 | 2009 | 츄쿄다이 츄쿄 (6) | 니혼 분리 | 10–9 | 츄쿄가 9회말 10-4로 리드. 에이스 도바야시 쇼타가 마운드에 오르지만, 2아웃 상황에서 니혼 분리가 5득점하며 역전을 노림. 도바야시가 마운드에서 내려오고 와카바야시가 3루수에게 라인 드라이브 아웃을 기록하며 경기 종료. 니혼 분리는 역전에 성공했더라면 니가타 출신 최초 우승팀이 되었을 것. | |
90 | 2010 | 고난 | 도카이다이 사가미 | 13–1 | 시마부쿠로 요스케와 고난이 우승을 차지하며 오키나와 학교 최초로 여름 고시엔 우승을 차지함. | |
91 | 2011 | 니치다이-산 | 고세이 가쿠인 | 11–0 | 요시나가 켄타로가 5피안타, 다카야마 슌이 3점 홈런을 기록함. | |
92 | 2012 | 오사카 토인 (3) | 고세이 가쿠인 | 3–0 | 후지나미 신타로가 14개의 삼진을 잡고 2피안타만 허용하며 우승을 차지함. 오사카 토인은 봄과 여름 고시엔을 같은 해에 우승한 6번째 학교가 됨. | |
93 | 2013 | 마에바시 이쿠에이 | 노베오카 가쿠엔 | 4–3 | 타카하시 코나가 이번 대회 6경기에서 처음으로 실점했지만 승리를 거둠. 아라이 카이토가 7회말 결승타를 침. | |
94 | 2014 | 오사카 토인 (4) | 미에 | 4–3 | 후쿠시마 코스케가 완투승을 거둠. 나카무라 마코토의 7회말 2아웃 2타점 적시타가 결승타가 됨. | |
95 | 2015 | 도카이다이 사가미 | 센다이 이쿠에이 | 10–6 | ||
96 | 2016 | 사쿠신 가쿠인 | 홋카이 | 7–1 | ||
97 | 2017 | 하나사키 토쿠하루 | 고려 | 14–4 | ||
98 | 2018 | 오사카 토인 (5) | 카나아시 농업 | 13–2 | 카나아시 농업은 103년 만에 아키타(및 도호쿠 지방) 출신 팀으로는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함(이전은 1915년). | |
100 | 2019 | 라이세이샤 | 세이료 | 5–3 | ||
2020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대회 개최되지 않음. 대신 32개의 봄 대회 팀이 각각 친선 경기를 치룸. | |||||
103 | 2021 | 치벤 가쿠엔 와카야마 | 치벤 가쿠엔 나라 | 9–2 | 대회 사상 처음으로 결승 진출 팀 모두 같은 학교 출신임. | |
104 | 2022 | 仙台育英学園高等学校|센다이 이쿠에이jp | 下関国際高等学校|시모노세키 고쿠사이jp | 8–1 | 도호쿠 지방 팀 최초 우승. | |
105 | 2023 | 게이오 | 仙台育英学園高等学校|센다이 이쿠에이jp | 8–2 | 18년 만에 빅 6 소속 학교가 여름 고시엔 우승 (2006년 게이오의 라이벌인 와세다). 또한 107년 만의 학교 첫 우승(마지막은 1916년). | |
106 | 2024* | 교토 국제 | 関東第一高等学校|간토 다이이치jp | 2–1 (10) | 한신 고시엔 구장 100주년 기념으로 개최된 대회. 결승전에서 WBSC 타이브레이커(현재 10회부터 적용)가 처음 사용됨. 107년 만에 국제학교 우승. |
참조
[1]
간행물
Japan baseball stars first shine bright at Koshien
http://search.japant[...]
2007-07-24
[2]
웹사이트
甲子園に鳴り響くサイレン、いったい何のため?
https://www.j-cast.c[...]
2019-08-10
[3]
웹사이트
〈甲子園アルバム11〉港で捨てた「外国の土」
http://www.asahi.com[...]
Asahi Shimbun
2008-07-25
[4]
웹사이트
高校野球100年のものがたり: 海に捨てられた思い出は「友愛の碑」に
https://www.sanspo.c[...]
Sankei Shimbun
2015-08-16
[5]
웹사이트
Beware of The Monster
https://www.espn.com[...]
ESPN
2006-11-22
[6]
웹사이트
The Latest: Tottenham looking into another breach by Aurier
https://apnews.com/f[...]
2020-05-20
[7]
뉴스
Japan's nat'l high school baseball meet canceled over virus
https://english.kyod[...]
2020-05-20
[8]
웹사이트
Kanagawa's Keio ends 107-year drought with Koshien triumph
https://www.japantim[...]
2023-08-23
[9]
서적
下剋上球児 - 株式会社カンゼン
http://www.kanzen.jp[...]
Kanzen
2019-03
[10]
웹사이트
Worst to First: A Baseball Miracle
https://www.tbsconte[...]
[11]
웹사이트
Worst to First: A Teen Baseball Miracle Live-Action Show Gets Animated Sequences by Cloverworks
https://www.animenew[...]
2024-02-01
[12]
웹사이트
Dispatch #1: A handful of dirt
https://sinkholemag.[...]
2018-03-29
[13]
뉴스
Matsuzaka Masterpiece: Glimpses of Greatness in Arm of Teenager
https://www.nytimes.[...]
2007-02-11
[14]
웹사이트
"It was unbelievable." Bob Fontaine Jr. Scouts Yu Darvish at Koshien
https://japanball.co[...]
2022-02-08
[15]
웹사이트
Shohei Ohtani is 'Made In Japan' with American adaptations
https://apnews.com/a[...]
2022-07-18
[16]
뉴스
高校野球の甲子園使用料ゼロのなぜ?
https://web.archive.[...]
THE PAGE
2015-08-18
[17]
서적
虫明亜呂無の本3 時さえ忘れて
筑摩書房
1991
[18]
논문
1911年における野球論争の実証的研究(Ⅳ)-大正期における「全國優勝野球大會」の地方大会主催者に関わる考察-
https://nuss.nagoya-[...]
名古屋大学総合保健体育科学センター
1993-03-30
[19]
뉴스
夏参加校が4000校割れ 年々減少で連合は31チーム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2-07-11
[20]
웹사이트
【高校野球】コールドゲーム|点差が大きく開いた場合
https://sposuru.com/[...]
[21]
웹사이트
「継続試合」35大会採用 負担は減った?
https://www.yomiuri.[...]
2022-07-27
[22]
웹사이트
継続試合、宮城をのぞく全地方大会で導入 高校野球導入2年目
https://www.asahi.co[...]
2023-07-05
[23]
웹사이트
地方大会は3441チーム参加 継続試合は全地方大会で - 高校野球
https://www.jiji.com[...]
2024-07-05
[24]
간행물
あの夏を変えた勢力図闘争! "1県1校"以前の勢力構成を振り返る 複雑で遠いゆえに尊い"甲子園への道"
2012-08-20
[25]
뉴스
【高校野球100年 発掘・事件史】「第1回全国大会」開催知らせず 秋田県3校で「東北予選」5県を出し抜き地区代表
https://www.zakzak.c[...]
[26]
웹사이트
沖縄県民を熱狂させる野球
https://www8.cao.go.[...]
内閣府
[27]
뉴스
夏の甲子園、準決勝前に休養日 選手負担減らす狙い
http://vk.sportsbull[...]
2013-04-25
[28]
뉴스
夏の甲子園、今年から準々決勝翌日を休養日に
http://www.yomiuri.c[...]
2013-04-25
[29]
뉴스
休養日を2日間に、暑さ対策で 全国高校野球選手権
https://vk.sportsbul[...]
2019-01-30
[30]
웹사이트
第93回全国高校野球選手権大会 決勝
https://www.nhk.or.j[...]
2011-08-20
[31]
웹사이트
第94回全国高校野球選手権大会 決勝
https://www.nhk.or.j[...]
2012-08-23
[32]
웹사이트
第69回選抜高校野球大会 決勝
https://www.nhk.or.j[...]
1997-04-09
[33]
웹사이트
センバツから継続試合導入…中断場面から後日再開 甲子園でコールド、ノーゲームなくなる
https://hochi.news/a[...]
2022-02-19
[34]
웹사이트
【高校野球】今春センバツから継続試合導入決定 大阪桐蔭・西谷監督「後味が悪い形で終わることがないのはありがたい」
https://hochi.news/a[...]
2022-02-18
[35]
뉴스
初の給水タイム、選手審判グラウンドから全員撤収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8-08-10
[36]
뉴스
선수의 몸을 아이스 베스트를 사용해 냉각 쿨링 타임, 이번 대회부터 도입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37]
뉴스
제4경기에서 쿨링 타임 실시 않아 이번 대회 처음으로 구장에서 야유
https://www.sponichi[...]
스포츠닛폰
[38]
웹사이트
열투 고시엔
https://twitter.com/[...]
2024-04-20
[39]
뉴스
쿨링 타임으로 몸과 마음을 재설정 급수 휴식, 흐름을 바꾸는 호기로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40]
뉴스
고교 야구 여름 고시엔 2부제 이번 여름 도입 보류 더위 대책으로 검토
https://web.archive.[...]
NHK
[41]
웹사이트
지속 가능한 고교 야구를 목표로 아침, 저녁 2부제는 자연스러운 흐름
https://vk.sportsbul[...]
2024-04-19
[42]
웹사이트
“일단 환영하고 싶다”“어려운 시대”여름 고시엔에서 2부제, 지도자들은
https://vk.sportsbul[...]
2024-04-19
[43]
웹사이트
“일단 환영하고 싶다”“어려운 시대”여름 고시엔에서 2부제, 지도자들은
https://vk.sportsbul[...]
2024-04-19
[44]
웹사이트
이번 여름 고시엔, 일부 일정에서 아침, 저녁 “2부제”를 실시 더위 대책으로
https://vk.sportsbul[...]
2024-04-19
[45]
웹사이트
【고시엔】맑은 날씨에도 사상 첫 연기 경기 가능성!? 아침 저녁 2부제 도입으로 오전 경기에 종료 시간 제한
https://www.nikkansp[...]
2024-08-07
[46]
웹사이트
【고교 야구】여름 고시엔에서 제1경기 출전 학교에 보식 제공 저영양으로 열사병을 발병하는 케이스 있음과 전문가가 조언
https://hochi.news/a[...]
2024-04-19
[47]
뉴스
마쓰이 히데키가 고교 야구 개혁을 제언 “고시엔 2부제에”“고교생 지키지 않으면”…“고지라이브”
https://hochi.news/a[...]
스포츠호치
2023-07-25
[48]
Youtube
전국 고교 야구 개막 본사 헬리콥터에서 볼 투하
https://www.youtube.[...]
2012-08-09
[49]
뉴스
헬리콥터에서 볼 투하, 탑승자 두근두근 고시엔의 시구식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7-08-15
[50]
뉴스
http://digital.asahi[...]
朝日新聞デジタル
2015-04-13
[51]
뉴스
전 도하타 감독의 마키무라 고지 씨 등 육성 공로상의 시상식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52]
뉴스
와키무라 하루오 씨 “과분한 영광”야구 명예의 전당 입성 시상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53]
뉴스
고시엔에서 1분간 묵념 “유니폼 당연한 것이 아니다”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0-08-15
[54]
웹사이트
제48회 전국 고교 야구 선수권 대회
https://www.nhk.or.j[...]
2024-12-18
[55]
웹사이트
제52회 전국 고교 야구 선수권 대회
https://www.nhk.or.j[...]
2024-12-18
[56]
웹사이트
제55회 전국 고교 야구 선수권 대회
https://www.nhk.or.j[...]
2024-12-18
[57]
웹사이트
제99회 전국 고교 야구 선수권 대회
https://www.nhk.or.j[...]
2024-12-18
[58]
웹사이트
제101회 전국 고교 야구 선수권 대회
https://www.nhk.or.j[...]
2024-12-18
[59]
웹사이트
제105회 전국 고교 야구 선수권 대회
https://www.nhk.or.j[...]
2024-12-18
[60]
뉴스
스탠드도 선수도 감독도 나가사키 원폭의 날, 경기 중에 묵념 제98회 전국 고교 야구·제3일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61]
뉴스
나가사키 상, 경기 중에 묵념 “가장 중요한 날”
https://web.archive.[...]
スポーツ報知
[62]
뉴스
고시엔견학 31일 시작 코로나로 중지된 고시엔 연습 대신 올해 스타트 첫날은 하나마키 동 등 8교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63]
서적
고시엔 2연패 -폐허에서 일어선 야구부원·후쿠시마 카즈오-
朝日クリエ
2012-07-25
[64]
뉴스
원정·용구·응원단 버스…“고시엔 빈곤”에 빠지는 단골 학교도
https://www.news-pos[...]
NEWS포스트세븐
2017-08-21
[65]
뉴스
오사카토인에 도움받은 동방, 이번 여름은 칭찬의 응원“조력자”로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19-08-02
[66]
웹사이트
고교 야구 치어리더 촬영으로 임의 동행 경찰의 대응에 인터넷에서 의문 잇따라
https://www.j-cast.c[...]
2010-07-13
[67]
간행물
야구의 나라에서 고교 야구편 시리즈Ⅳ 히스토리 ‘선수 선서’①
日刊スポーツ
2018-04-11
[68]
웹사이트
야마가타현 고야련-고야련 통달 헤이세이 12년 변경분
http://www5e.biglobe[...]
[69]
뉴스
여름 고시엔, 외야석을 유료화로 청궁 피버가 계기 사고 방지가 목적
https://www.daily.co[...]
神戸新聞社
2018-01-25
[70]
웹사이트
여름 고시엔의 입장료가 대폭 인상 고야련과 아사히 신문이 ‘돈벌이’에 몰두했다고 지적
https://news.nifty.c[...]
[71]
뉴스
朝日新聞 2024年4月20日朝刊スポーツ面
朝日新聞
2024-04-20
[72]
웹사이트
夏予選皆勤出場校
https://teto.nekonik[...]
野球回廊
2024-11-14
[73]
웹사이트
高校野球 甲子園 各都道府県の県別対戦詳細
http://koushien.s100[...]
2024-11-18
[74]
웹사이트
どれだけご存知ですか?センバツと夏の甲子園の違い
https://web.archive.[...]
NHK
2019-03-22
[75]
웹사이트
深紅の大優勝旗、100回大会に合わせ新調 18年夏の甲子園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76]
웹사이트
夏の甲子園100回記念、優勝旗3代目へ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77]
웹사이트
「深紅の大優勝旗」3代目に 夏の甲子園100回記念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78]
웹사이트
深紅の大優勝旗、100回大会へ新調 夏の全国高校野球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79]
뉴스
〈アルプス席〉「49」のジンクスに挑む
http://vk.sportsbull[...]
2010-08-13
[80]
서적
こちらJOBK -NHK大阪放送局七十年-
NHK大阪放送局
1995
[81]
뉴스
NHK痛恨…広陵・中村新記録生中継できず 3分間ニュース放送
https://www.daily.co[...]
2023-04-14
[82]
웹사이트
全国高校野球選手権大会(2011年以降、8時からEテレで中継された例)
https://www.nhk.or.j[...]
2024-11-18
[83]
웹사이트
第103回全国高校野球選手権大会(2021年8月25日 - 28日)
https://www.nhk.or.j[...]
2024-11-13
[84]
웹사이트
第204回国会 衆議院 議院運営委員会 第53号
https://kokkai.ndl.g[...]
2021-08-25
[85]
웹사이트
第204回国会 参議院 議院運営委員会 閉会後第6号
https://kokkai.ndl.g[...]
2021-08-25
[86]
웹사이트
2021年8月25日 総合 番組表
https://www.nhk.or.j[...]
2021-08-25
[87]
웹사이트
第103回全国高校野球選手権大会 第12日
https://www.nhk.or.j[...]
2021-08-25
[88]
웹사이트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https://www.data.jma[...]
2024-08-08
[89]
웹사이트
第106回全国高校野球選手権大会 第2日
https://www.nhk.or.j[...]
2024-08-08
[90]
웹사이트
2024年8月12日 総合 番組表
https://www.nhk.or.j[...]
2024-08-12
[91]
웹사이트
第106回全国高校野球選手権大会 第6日
https://www.nhk.or.j[...]
2024-08-12
[92]
웹사이트
2024年8月16日 総合 番組表
https://www.nhk.or.j[...]
2024-08-16
[93]
웹사이트
第106回全国高校野球選手権大会 第10日
https://www.nhk.or.j[...]
2024-08-16
[94]
웹사이트
第13回全国中等学校優勝野球大会
https://www2.nhk.or.[...]
2024-11-13
[95]
뉴스
朝日新聞
1983-08
[96]
웹사이트
NHKラジオのradiko.jp配信、4月12日正午から全国へ拡大
https://av.watch.imp[...]
AV Watch
2018-03-22
[97]
웹사이트
ラジコでNHKラジオが聴ける4月12日(木)より、全国を対象に2018年度の実験配信を開始
https://prtimes.jp/m[...]
株式会社radiko
2018-03-22
[98]
웹사이트
第106回 全国高校野球選手権大会 第1日
https://www.nhk.or.j[...]
2024-08-07
[99]
웹사이트
第51回 思い出のメロディー
https://www.nhk.or.j[...]
2019-08-17
[100]
뉴스
朝日新聞
1984-08
[101]
뉴스
朝日新聞
2008-08
[102]
뉴스
毎日新聞
1964-08
[103]
뉴스
京都新聞
1985-08
[104]
웹사이트
第104回全国高等学校野球選手権大会
https://www.bs-asahi[...]
2022-08-06
[105]
웹사이트
スカイ・Aのリリース
http://www.sky-a.co.[...]
スカイ・A
[106]
뉴스
甲子園めざす球児を応援、ダンスCM制作 107人参加
http://www.asahi.com[...]
バーチャル高校野球
2016-06-08
[107]
간행물
朝日放送・朝日新聞社の共同事業により高校野球の新オンラインメディアが誕生「バーチャル高校野球」2015年7月中旬より提供開始
https://corp.asahi.c[...]
朝日放送株式会社
2015-05-11
[108]
간행물
「バーチャル高校野球」が「SPORTS BULL(スポーツブル)」にて地方大会709試合のライブ中継をスタート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18-07-03
[109]
웹사이트
ABEMA、夏の甲子園も配信 サッカーW杯カタール大会に続き注目のビッグイベント
https://www.nikkansp[...]
2023-07-19
[110]
웹사이트
ABCラジオ×radiko 新サービス「オーディオ高校野球」のお知らせ
https://prtimes.jp/m[...]
2024-06-13
[111]
웹사이트
朝日放送ラジオ「オーディオ高校野球」radikoで夏の甲子園を無料で"完全中継"
https://minpo.online[...]
2024-06-19
[112]
웹사이트
50年前の選手宣誓に衝撃を受けた。
https://number.bunsh[...]
Number web
2020-08-18
[113]
일반
[114]
일반
[115]
일반
[116]
일반
[117]
일반
[118]
일반
[119]
일반
[120]
일반
[121]
일반
[122]
일반
[123]
일반
[124]
일반
[125]
일반
[126]
일반
[127]
일반
[128]
일반
[129]
일반
[130]
일반
[131]
일반
[132]
일반
[133]
일반
[134]
일반
[135]
일반
[136]
일반
[137]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